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3)
내가 불교에 귀의한 이유 🙏 문득 이제 인생을 진지하게 살아봐야 겠다 생각했다. 내면이 강하고 튼튼한 사람으로, 어려운 주변 환경 속에서도 여여하게 마지막엔 결국 내가 원하고 그리던 모습으로 살아가고 싶었다. 세상이 올바르다는 이치를 이해하고 실천하고 싶은 마음 반, 내가 그리는 성공한 삶의 모습을 완성하고 싶은 마음 반으로 종교에 귀의해야 겠다고 마음먹었다. 마침 어머니께서 '내가 너에게 물려줄 재산도 없고, 형제자매도 없어 외롭게 남겨질 것이 걱정이다. 네가 부처님법을 배우고 실천해 행복한 삶을 살았으면 좋겠다'는 진심이 전해져 더 부처님 법에 빠지게 되었다. 여담으로 가끔 어떻게 절에 다니게 되었는지 물어보시는 분들이 정말 많으신데 사실 그 때마다 말문이 닫힌다. '전생에 부처님과 인연을 쌓아서요'라고 담담히 답하기에는 뭐랄까..
염불(念佛)의 의미와 공덕 한국불교에서 가장 대중적으로 알려진 불교수행법은 명상 인듯하다. 불자가 아닌 일반 대중들도 최근 마음의 평화와 스트레스 해소를 위해 명상에 많은 관심이 있는 것으로 알고있다. 특히 코로나로 종교시설 방문이 어려운 요즘 시기에 명상은 내 개인적인 공간만 있다면 최소한의 조건이 갖추어 지는 샘이니 언뜻 보기에는 문턱이 낮아 보인다.(실제로 명상수행을 본격적으로 하시는 분들은 선지식 또는 스승의 지도아래 하는 경우가 많다.) 오늘은 명상 외에도 집에서 쉽게 할 수 있고 대중적으로도 많이 알려져있지만 이상하게 쉽게 하기어려운(?) 칭명염불 수행법에 대해서 이야기 해보려고 한다. 구글이나 네이버로 염불에 대한 내용을 찾아보면 다양한 정의들을 볼 수가 있다. 한자 뜻 그대로 풀이하면 念(생각 염), 佛(부처님 불)..
금강경 사경의 의미와 공덕 코로나19로 현지사 불교대학의 수업방식이 온라인 라이브 강의로 바뀌었다. 오프라인으로 집중력있는 수업을 듣지 못하는 건 아쉽지만 모두의 안전을 위해 언택트 랜선라이프에 동참하는 것이 올바르다 생각한다. 아쉬움은 남지만 온라인 수업을 열심히 들으면서 힐링을 하는 수 밖에 없다. 불교대학 입학전 과제로 금강경 사경하여 과제가 내려왔다. 금강경 사경을 하면서 경전사경의 의미와 그 공덕에 대해서 좀 더 알고싶어 금강경 사경의 의미와 공덕에 대해 이것 저것 조사해보았다. 사경은 부처님의 말씀이 담긴 경전을 옮겨 쓰는 것을 말한다. 한글자씩 정성스럽게 부처님의 말씀을 적어 내려가면서 부처님의 가르침을 마음속에 하나씩 채워나가는 수행이다. 또 오랜시간 사경을 하다보면 자연스럽게 경정을 외워지면서 내용의 이해도가 높아..